튜플 Tuple
: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한데,
- [ ] 대신 ( )를 사용한다는 것과
- 값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다른점이다.
또한, 튜플은 리스트보다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1. 튜플 만들기
- 다음과 같이 값을 괄호 ( ) 안에 값을 넣어주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 위와 같이 괄호안에 값을 차례대로 넣어서 튜플을 만들 수도 있다.
2. 값의 생성(Error)
- 하지만 그 값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기때문에 위와같이 에러가 뜬다.
집합 Set
- 값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순서가 없다 = 인덱싱을 지원하지 않는다.
1. 집합 만들기
- 집합은 중복을 지원하지 않아서 3개의 "c"가 있지만 한개의 값만 출력한다.
2. 집합자료형 활용하기
다음과 같이 두개의 집합이 있을때,
1) 교집합
- '&'기호를 이용하거나 intersection함수를 사용해 교집합을 구할 수 있다.
2) 합집합
- '|' 기호를 이용하거나 union 함수를 사용해 합집합을 구할 수 있다.
3) 차집합
- '-' 기호를 이용하거나 difference 함수를 사용해 차집합을 구할 수 있다.
4) 값의 추가
- add 함수를 사용해서 집합에 값을 추가할 수 있다.
순서가 없기 때문에 상관없이 출력된다.
5) 값의 삭제
- remove 함수를 사용해서 집합에 값을 삭제할 수 있다.
* 자료구조 변경하기
집합, 튜플, 리스트와 같은 자료구조 타입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 집합의 구조로 만들어 주었고, type 을 알아보면 'set'라고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집합을 가지고 자료구조를 변경해보면,
- 변수를 list( ) 형태로 감싸주면 type이 'list'로 바뀐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같은 방법으로 tuple( )로 만들어준다.
- 다시 set( ) 타입으로 만들어준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지역변수, 전역변수 (0) | 2020.12.11 |
---|---|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 가변인자 (2) | 2020.12.09 |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딕셔너리 (0) | 2020.11.25 |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리스트 (0) | 2020.11.25 |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탈출문자 (0) | 202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