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2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리스트 리스트란? [순서를 가지는 객체의 집합] 을 의미한다. 1. 리스트 만들기 - Fruits이라는 리스트 안에 "Apple", "Banana","Kiwi" 라는 객체들을 넣어주었다. - 리스트는 다양한 형태 (문자열, 정수, True or False) 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2. index() - index 함수를 이용해서 해당 값이 리스트 안에 몇 번째로 들어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 3. append() - append 함수를 이용해서 새로운 값을 입력함으로써 리스트를 확장할 수 있다. (단, 이때 새로 입력한 값은 리스트의 맨 마지막 순서로 들어간다.) 4. insert() - append 함수와 비슷하지만 insert 함수를 사용하면 원하는 순서(위치)에 새로운 값을 .. 2020. 11. 25.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문자열처리함수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을때, 1. lower() : 모든 문자열을 소문자로 나타낸다 2. upper() : lower 과 반대로 모든 문자열을 대문자로 나타낸다. 3. isupper() : 문자열에서 [n]번째로 오는 알파벳이 대문자라면 True, 소문자라면 False를 반환한다. 4. len() : 문자열의 길이를 나타내준다. 5. replace(a,b) : 현재 문자열에 있는 a를 b로 바꿔줄 수 있다. 6. index() : 원하는 알파벳이 문자열에서 몇번째에 오는지 나타내준다. 예시에서는 "i"가 2번 나오는데, 제일 처음 나오는 경우가 몇번째인지 결과값으로 나온다. index( "i", start ) 앞에 찾고싶은 알파벳을 적고, 뒤에 몇번째부터 시작하여 찾을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전에 i를 .. 2020. 11.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