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21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클래스 [ 클래스 Class ] 계산기는 수를 계속해서 계산하려면 이전에 계산된 결과값을 기억하고 있어야한다. 1-2개의 계산기가 필요할때는 각각의 함수를 만들 수 있겠지만 만약 여러개의 계산기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많은 함수를 만드는 것이 힘들다. 이때 필요한 것이 클래스이다. 하나의 클래스만 만들어 놓으면 수많은 계산기가 필요해도 각각의 함수를 모두 만들지 않아도된다. 붕어빵을 만들때는 반죽을 붕어빵 틀안에 넣고 구워내면 붕어빵이 만들어진다. 클래스도 이와 같은 원리라고 보면 되는데, 클래스라는 틀 안에 뭔가를 넣으면 그 틀의 모양대로 생성된다. 그리고 틀에서 생성된 객체(붕어빵)를 인스턴스라고 한다. - 다음과 같이 order라는 클래스를 생성했을 때 order라는 클래스에 속하는 order1과 order2.. 2020. 12. 30.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pickle pickle 이란? : 파이썬의 외장함수 중 하나 프로그램상에서 다루는 데이터(객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고 불러올수 있게 하는 모듈 * 자료형 상관없이 저장하고 불러올수 있다. 1. 쓰기, 저장 - 외장함수를 불러올때는 import를 먼저 해줘야한다. - pickle을 사용할때는 쓰기, 읽기에서 'wb', 'rb' 바이너리타입(b)를 꼭 적어준다. - dump( )함수를 이용해서 객체인 A를 Afile에 그대로 저장해준다. 2. 읽기 - 읽기를 할때는 'rb'를 사용한다. - load( )함수를 통해 A에 Afile을 불러들인다. 3. with 사용하기 - with를 활용하여 A를 파일형태로 저장하고, Afile을 불러들일 수 있다. - 따로 close( )를 해주지 않아도.. 2020. 12. 21.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파일 읽고 쓰기 1. 파일 생성하기/ 쓰기 파일 생성을 위해서 open()이라는 내장함수를 사용한다. 파일을 열고나서는 close()를 통해서 열려있는 파일을 닫아준다.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때문에 쓰기모드로 열었던 파일은 닫아주는 것이 좋다. r 읽기 w 쓰기 a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할때 * 파일을 쓰기모드로 열면 해당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원래 있던 내용이 모두 사라지고,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 진다. - 생성된 파일(test_file.txt)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이 입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Hi Bonjour 2. 파일에 새로운 내용 추가하기 - a(append)를 통해 파일내의 텍스트 내용을 추가할 수 있다. - 텍스트를 추가하면서 write로 내용을.. 2020. 12. 16.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표준 입출력 출력문 print(), sep = " " , end = " " print()로 출력을 할때 두가지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데, 1. sep = " " separtion print()에 들어가는 출력문들 사이에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구분해줄 수 있다. - sep = " - "로 들어가는 문자들 사이에 "-"를 넣어 주었다. 2. end = " " - print() 출력문 출력후 마지막에 무엇을 쓸지 정할 수 있다. - 또한, 일반적으로 출력문들을 출력하면 개행(\n)되어 출력되는데 end = ""를 넣어주면 개행하지않고 이어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end = " " 공백을 넣어 주었다. 표준 입출력과 표준 에러 출력 stdout stderr 표준 출력과 표준 에러를 구분하여 주석처리가 .. 2020. 12. 14.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지역변수, 전역변수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변수, 함수 밖에서 사용되는 변수 - 현재 a라는 변수에 1이 대입되어있고, a에 1을 더해주는 func이라는 함수를 만들었다. 그리고 함수에 a를 넣어 출력하였는데 1을 더한 2가 아닌 그냥 1이 출력되었다. - 함수 안에서 만들어진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되는 '함수만의 변수'이기 때문이다. - 함수 안에서 사용되는 변수는 함수 밖의 변수 이름들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함수 안에서 함수 밖의 변수를 변경하는 방법 지역변수 : 함수 안에서 만들어진 변수, 함수가 호출되면 만들어져서 함수의 실행이 끝날때 함께 없어진다. - return을 이용하여 입력값에 1을 더한 값을 돌려주는 함수를 만든다. - a = func(a)라고 대입해준다. * 이때도 함수 안의 a와 함수 밖의 a는 다.. 2020. 12. 11.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 가변인자 인자와 매개변수의 차이 - 함수가 정의되는 내용에 포함되는 특성을 매개변수(Parmeter)라고 한다. 즉, 여기서는 함수 func이 par1, par2라는 매개변수를 포함하고 있고 이를 전달받아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정의) - 그리고 실제로 함수 func를 호출할 때 "arg1","arg2"라는 값을 전달하여 함수를 호출하는데 이때 실제로 함수에 전달하는 값을 인자(Argument)라고 한다. - 여기서 매개변수(Parameter)는 변수(Variable), 인자(Argument)는 값(Value)라고 보면 된다. 가변(위치)인자 *args 입력값이 여러개인데 그 개수를 알 수 없을때, 우리는 이를 가변인자라고 부른다. 함수를 생성할때 가변길이의 변수앞에 *을 붙여주면 되는데, 보통 *args라고 .. 2020. 12. 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