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21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튜플, 집합 튜플 Tuple :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한데, - [ ] 대신 ( )를 사용한다는 것과 - 값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다른점이다. 또한, 튜플은 리스트보다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이다. 1. 튜플 만들기 - 다음과 같이 값을 괄호 ( ) 안에 값을 넣어주면,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 위와 같이 괄호안에 값을 차례대로 넣어서 튜플을 만들 수도 있다. 2. 값의 생성(Error) - 하지만 그 값의 추가, 수정, 삭제가 불가능하기때문에 위와같이 에러가 뜬다. 집합 Set - 값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 순서가 없다 = 인덱싱을 지원하지 않는다. 1. 집합 만들기 - 집합은 중복을 지원하지 않아서 3개의 "c"가 있지만 한개의 값만 출력한다. 2. 집합자료형 활용하기 다음과 같이 두개.. 2020. 11. 30.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이란? javascript에서 객체를 만들때 인간이 읽을 수 있는 문자를 사용해 만든 표현식인데,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할때 사용하는 데이터 포맷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일 확장자는 .json으로 나타낸다. 원래 javascript 언어에서 시작되어서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 구문형식을 따르고 있다. json은 비교적 경량의 데이터형식이고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계없이 사용가능해서 다른 시스템간의 데이터 교환에 용이하다. JSON의 데이터 형식 : attribute 또는 name과 value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래와 같은 형식의 데이터들이 들어갈 수 있다. - string 은 큰따움표" " 만 지원한다. 즉, 큰따움표로만 표현할 수 있다. - o.. 2020. 11. 27.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딕셔너리 딕셔너리란? 대응관계를 갖고 있는 자료형으로 key와 value를 한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key : value}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key에 대한 중복은 허용되지 않는다. 1. 딕셔너리 만들기 - 빈 딕셔너리는 { }으로 정의할 수 있다. - Dic이라는 딕셔너리에 20, 123이라는 key와 "칙촉", "맛동산"이라는 value 값을 입력해주었다. - '딕셔너리[key]'의 형태로 해당 key에 대한 value 값을 출력할 수 있다. 2. get() - get 함수를 통해서도 해당 key에 대한 value 값을 출력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해당 key에 대한 value 값을 출력할 수 있다. * 존재하지 않는 key값을 출력하려고 했을때 - 만약에 딕셔너리에 존재하지 않는 ke.. 2020. 11. 25.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리스트 리스트란? [순서를 가지는 객체의 집합] 을 의미한다. 1. 리스트 만들기 - Fruits이라는 리스트 안에 "Apple", "Banana","Kiwi" 라는 객체들을 넣어주었다. - 리스트는 다양한 형태 (문자열, 정수, True or False) 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2. index() - index 함수를 이용해서 해당 값이 리스트 안에 몇 번째로 들어가 있는지 알 수 있다. (순서는 0부터 시작한다.) 3. append() - append 함수를 이용해서 새로운 값을 입력함으로써 리스트를 확장할 수 있다. (단, 이때 새로 입력한 값은 리스트의 맨 마지막 순서로 들어간다.) 4. insert() - append 함수와 비슷하지만 insert 함수를 사용하면 원하는 순서(위치)에 새로운 값을 .. 2020. 11. 25.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탈출문자 1. 줄바꿈문자 /n : 문장을 줄을 바꿔서 출력하고 싶을때 \n 을 사용하면 그 다음부터 줄을 바꿀 수 있다. 2. " " 와 ' ' 사용하기 : 문자 " ", ' ' 자체를 사용하고 싶을때 역슬러쉬(\)를 붙여주면 된다. \" \" \' \' 3. 문장내에서 역슬러쉬(\) 사용하기 문자로서 역슬러쉬를 사용하고싶을때는 \을 두개 붙여써주면 된다. \\ 4. 백스페이스 기능 \b \b를 붙이면 바로 앞에 오는 문자를 지워줄 수 있다. 5. 탭기능 \t \t를 사용하여 tab키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2020. 11. 16. 파이썬 코딩 따라하기(기본) - 문자열포맷 포맷팅(Formatting)이란? : 문자열 안에 특정위치에 특정값을 삽입하는것. 방법 A. 바로 대입하기 A-1. 정수 대입 %d 문자열에서 숫자를 넣고싶은 자리에 %d 를 넣어주고 삽입할 정수를 뒤에 % 다음으로 써넣는다. A-2. 문자열 대입 %s 위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을 넣고 싶은 자리에 %s를 넣어주고 삽입할 문자열을 뒤에 % 다음으로 써넣는다. * 여기서, %s는 자동으로 % 뒤에 있는 값을 문자열로 바꿔서 어떤 형태든 변환해 넣을 수 있다. (원래 180을 사용하려면 %d를 사용해야한다.) A-3. %c (문자 1개 대입) : character라는 의미로 문자 1개를 대입할 때 사용된다. * 다양한 문자열 포맷코드 %c 문자1개(charact.. 2020. 11. 1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