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언리얼 엔진 도큐먼트
언리얼을 사용하면서 항상 보는 옵션이지만 가끔은 이해가 안가는 렌더링 웜업 시스템,,(렌더가 튀는 문제가 생기면 너무 열받는다)
열받아서 정리해봅니다.
[Rendering Warmup]
렌더링 웜업이 필요한 경우 예시
1. 파티클, 이펙트가 플레이되고 있어야 하는데 샷이 시작되면서 활성화되는 경우
2. cloth, 물리기반의 움직임이 샷이 시작되면서 안정화될때
3. 렌더링 시퀀스에서 첫번째 프레임에 안티 에일리어싱이나 플리커 현상이 나타날때
렌더링 웜업 옵션 살펴보기
: 렌더링 웜업 옵션은 무비렌더큐 창에서 Anti-aliasing 탭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Use Camera Cut for Warm up
- 기본 체크박스 비활성화 상태
- 활성화하면 카메라 컷 트랙이 실제 시퀀스 시작 전 설정된 영역 (0프레임 이전)에 따라 웜업시간이 정해진다.
> 첫번째 프레임에서 파티클, 애니메이션, 안티 에일리어싱에 오류가 생길때 잡을 수 있다.
> 말 그대로 카메라 컷을 앞으로 당겨서 웜업을 시킨다는 뜻인듯.
2. Render Warm Up Frames
- 기본 체크박스 비활성화 상태
- 위의 'Use Camera Cut for Warm Up' 옵션에 이어서 파티클이 GPU 기반이라면 함께 활성화 시켜줘야 한다고 한다.
(언리얼은 다 gpu아닌가,,)
- 근데 언리얼 자체에 마우스 갖다되면 뜨는 설명을 봐도 GPU와 관련성만 나타나있다.
- 정확히 무슨 역할을 하는지 모르겠음;
3. Render Warm Up Count
: 렌더링의 안정화를 위해 설정하는 카운트 수인데 Temporal Effect를 위함이라고 한다.
* Temporal Effects는 Anti-ailiasing같은것으로 본다.
- 계산되는 Frame을 GPU로 보낸다.
- Engine Warm up Count보다 비용이 더 드는 옵션값이다.
4. Engine Warm Up Count
- 미리 엔진을 워밍하는 시스템(파티클, 레벨 불러오기)
- 렌더링하기 전에 엔진을 작동시킨다.
- Use Camera Cut for Frame을 체크하면 이 항목을 사용할 수 없다.
- 설정해놓은 숫자의 프레임까지(렌더전까지) 엔진을 호출하는데 렌더링 되지는 않는다.
결론
즉, 렌더 웜업 카운트는 렌더 출력(GPU)관련된걸 워밍하는거고,
엔진 웜업 카운트는 gpu와 관련없이 엔진 호출과 관련된걸 워밍하는것같다.
'Computer Graphic >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UE5 : 언리얼 아웃라인 이미시브 머티리얼 만들기 (0) | 2024.10.04 |
---|---|
UE5 : 미네랄스톤, 광물 머티리얼 만들기(substrate material) (0) | 2024.10.04 |
UE5 : 거리에 따라 밝기가 약해지는 머테리얼 노드 만들기 (거리값에 따른 감쇠) (0) | 2024.02.26 |
UE5 : 머테리얼에서 노말맵을 제어할 수 있는 노드 만들기 (0) | 2024.02.23 |
UE5 : 렌더링할때 참고하면 좋은 콘솔 변수 (0) | 2024.02.19 |